• 2023. 5. 30.

    by. choiceking

    반응형

    신호등에서 초록불을 기다리다가 누군가 빨간불일 때 건너가게 되면 우르르 따라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출근길이라 다들 바쁘고 신호를 어기고 건너가면 버스를 기다리지 않고 탈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이처럼 한 사람이 법을 어길 때 우르르 따라 어기게 되는 것을 깨진 유리창 이론에 속한다고 합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은 누가 제시했을까?

    깨진 유리창 이론을 제시한 학자는 필립 존슨(Philip Zimbardo)입니다. 그는 1933년에 태어난 미국의 사회심리학자로,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였습니다. 그는 사회심리학, 행동심리학, 범죄심리학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와 이론을 제시한 학자로 유명한데요, 그의 연구는 사회적 상황과 개인 행동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고, 사회적 변화와 조절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특히 1971년에 진행한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필립 존슨은 이 실험을 통해 권위와 권력이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였습니다. 스탠퍼드 감옥 실험에서는 자유롭고 정상적인 대학생들을 감옥의 감독과 수감자로 분리하여 행동을 관찰하였는데, 예상보다 강력한 사회적 역할에 의해 수감자들은 고통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었으며, 감독들은 권위의 남용과 학대를 보였습니다. 이 실험은 사회적 환경이 개인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으며, 이를 통해 권위와 권력의 문제를 탐구하였습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은 무엇일까?

    깨진 유리창 이론은 필립 존슨이 1969년에 발표한 논문인 <Deindividuation: A Theory of the Breakdown of
    Normal Social Restrictions>에서 제시되었습니다. 이 이론에서는 권위의 남용과 권력의 미스사용이 작은 범죄나 사회적 불균형을 악화시켜 큰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을 하였는데요, 쉽게 말하자면 깨진 유리창 이론은 조그마한 범죄 또는 사회적 불균형이 점차 악화되어 큰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개념을 말합니다. 이론의 이름은 유리창에 대한 비유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상점의 창문이 깨지게 되면 사람들은 그 상점에 더욱더 경계심을 가지게 되고, 더 큰 범죄가 일어날 수 있다는 불안감을 느끼게 됨으로써 상점을 피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이는 결국 동네 전체의 안전이 무너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은 범죄 예방에 대한 내용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만약 도시 내에서 범죄나 안전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문제에 대한 조치를 즉각적으로 취하지 않을 경우, 작은 범죄가 허용되는 것처럼 보이게 되고, 이로 인해 더 큰 범죄가 유발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즉, 작은 범죄나 사회적 불균형을 방치하면 이는 곧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회적 환경에서의 범죄, 정치적 불안정, 사회적 불평등 등에도 적용됩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은 사회적 관찰과 사회적 규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조기에 작은 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하는 것이 더 큰 문제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의 구체적인 예는 뭐가 있을까?

    재개발이 일어나기 전에 마을의 모습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같은 지역에서 집을 비우고 이사를 가게 되면 사람이 살지 않은 그 지역은 점차 황폐해지게 되지요. 버려진 공간은 야간에 범죄자들이 숨어서 나쁜 짓을 저지를 수 있는 장소가 될 수 있습니다. 

     

    broken window theory

     

    또한 도로 위에 버려진 쓰레기를 생각해 보면 깨진 유리창 이론을 확실히 기억할 수 있을 겁니다. 누군가 한 곳에 쓰레기를 버리게 되면, 사람들은 쓰레기가 버려진 바로 그곳에 쓰레기를 버리게 됩니다. 그 경우 점차 쓰레기가 쌓이게 되는데요, 이때 사람들은 그다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고 잘못된 일을 벌이게 됩니다. 

     

     

    깨진 유리창 이론이란 건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 쓰레기통을 곳곳에 마련해야 하는 이유가 되기도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